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68)
JAVA-기본 (7)
JAVA-AWT (24)
JAVA-클래스의 중요메소드 (23)
JAVA-람다식 (0)
Android Studio (7)
Python (1)
OpenCV (1)
AWS (0)
webrtc (0)
javascript (4)
처리방침 (1)
rss 아이콘 이미지

01. 기본 레이아웃 xml 설명

Android Studio/기본1 2022. 12. 21. 01:56 Posted by IT-개발자
반응형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처음 실행하면 왼쪽 project 목록 중 res-layout 폴더에 디자인 xml 파일이 있습니다.

activity_main.xml 파일을 더블 클릭하면 파일이 열리고 오른쪽 영역을 보면 code/ split /Design 3가지가 있고,

 

1. code는 실제 code를 작성하여 디자인 레이아웃을 구성 (다른 코드를 복사 붙여넣기가 용이함)

2. split은 코드와 디자인을 함께 보면서 구성

3. Design은 파레트 형식의 디자인 영역으로 레이아웃을 구성

 

위의 3가지 방식으로 레이아웃 xml파일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필자는 Design으로 시작하겠습니다.

 

palette 영역을 통해 component들을 찾으면서 레이아웃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palette 영역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레이아웃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ConstraintLayout, LinearLayout(horizontal), LinearLayout(vertical), FrameLayout, TableLayout, TableRow, Space

다음장에서 layout에 대해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자료가 마음에 드셨다면 자주 찾아주세요^^ 글 올리는데 힘이됩니다.

반응형

'Android Studio > 기본1' 카테고리의 다른 글

layout- LinearLayout(안드로이드)  (1) 2023.01.08
layout-ConstraintLayout(안드로이드)  (0) 2023.01.07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설치-01

Android Studio/설치 2022. 12. 21. 01:34 Posted by IT-개발자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안드로이드 app을 제작할 수 있는 Tool을 windows에서 설치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다운을 하도록 합니다.

 

해당 페이지에서 Download Android Studoi 버튼을 클릭합니다.

클릭하면 정책 동의서 하단의 체크 박스를 체크 후 download 버튼을 클릭합니다.

다운하면 설치파일 다운 성공!

 

 

자료가 마음에 드셨다면 자주 찾아주세요^^ 글 올리는데 힘이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이번 시간에는 Vector() 클래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Vector()


Vector() 는 동적인 배열을 정적인 크기를 가지고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보통 배열을 선언할 때 배열의 개수를 제한하지만, Vector 클래스는 가변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벡터는 배열을 저장하는 공간입니다.


아래는 Vector() 클래스의 생성자 입니다.


1.Vector()

:크기가 10인 벡터를 생성합니다. 크기를 넘어서면 10 증가합니다.

예를들어, 크기가 10인 벡터가 생성된다면 아래와 같습니다.

1번객체
2번객체
3번객체
4번객체
5번객체
6번객체
7번객체
8번객체
9번객체
10번객체

위의 10개의 크기를 가진 벡터는 10을 초과하면 20이 됩니다.


2.Vector(int 초기값)

:크기가 int 개수인 벡터를 생성합니다. 크기를 넘어서면 10 증가합니다.


3.Vector(int 초기값, int 증가값)

:초기의 크기가 int개수인 벡터를 생성하며 그 개수가 가득차면 int 증가값만큼 벡터가 증가합니다.



아래는 Vector() 클래스의 주요 메소드입니다.

addElement(객체)

:객체를 Vector에 저장합니다.


elementAt(int)

:몇번째 벡터값 요소를 확인합니다.


Capacity()

:벡터의 크기를 확인합니다.


아래의 예제를 통하여 더 Vector()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보통 Vector() 클래스는 <객체>를 사용하여 어떤 type의 객체를 생성할지 나타냅니다.

 package 기본01;

 

import java.util.Vector;

 

public class a13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Vector<String> a1 = new Vector<String>(5,5);

               // 초기값이 5이며 증가값이 5 벡터 생성

 

               a1.addElement("1");

               // 1번이라는 String 객체값은 벡터의 첫번째 요소에 저장

               a1.addElement("2");

               a1.addElement("3");

               a1.addElement("4");

               a1.addElement("5");

               System.out.println(a1.capacity());

               //벡터의 크기 확인

               a1.addElement("6");

               System.out.println(a1.capacity());

               //늘어난 벡터의 크기 확인

              

               System.out.println("--------------");

               System.out.println(a1.elementAt(0));

               System.out.println(a1.elementAt(1));

               System.out.println(a1.elementAt(2));

               System.out.println(a1.elementAt(3));

               System.out.println(a1.elementAt(4));

               System.out.println("--------------");

               System.out.println(a1.elementAt(5));

 

        }

 

}


<결과물>

자료가 마음에 드셨다면 자주 찾아주세요^^ 글 올리는데 힘이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