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68)
JAVA-기본 (7)
JAVA-AWT (24)
JAVA-클래스의 중요메소드 (23)
JAVA-람다식 (0)
Android Studio (7)
Python (1)
OpenCV (1)
AWS (0)
webrtc (0)
javascript (4)
처리방침 (1)
rss 아이콘 이미지

JAVA 설치-01(JDK 설치)

JAVA-기본/설치 2018. 7. 5. 17:10 Posted by IT-개발자
반응형

안녕하세요, JAVA에 대해서 알기전에 JAVA와 관련된 프로그램을 설치하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JDK를 설치하도록 하겠습니다.


1. 구글에 접속합니다.


2. 자바 다운로드 또는 JAVA 다운로드 를 검색합니다.

검색 후 아래의 사이트에 접속합니다.(oracle 홈페이지의 다운로드 영역으로 주소는 아래와 같습니다.)


http://www.oracle.com/technetwork/java/javase/downloads/index.html





3. 위의 사이트에 접속하면 아래와 같은 페이지가 나옵니다.


*64비트 운영체제인 경우

 Java Platform(JDK)10을 다운로드를 클릭합니다. 



클릭하면 아래의 사이트가 뜨는데 중간 지점에 Accept License Agreement를 check 하시고 64비트 운영체제를 다운 받습니다.



*32비트 운영체제인 경우

32비트 운영체제이시면 현 페이지에서 내려보시면 아래의 그림이 있는데 8U171/8U172 다운 클릭하시면 윈도우X86 있습니다.



클릭하면 아래의 사이트가 뜨는데 중간 지점에 Accept License Agreement를 check 하시고 32비트 운영체제(x86)를 다운 받습니다.

5. 다운받은 설치파일을 찾아서 설치합니다.

다음에는 컴퓨터 상에서 자바를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도록 하겠습니다.


자료가 마음에 드셨다면 자주 찾아주세요^^ 글 올리는데 힘이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이번 시간에는 StringTokenizer() 클래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StringTokenizer()


StringTokenizer() 는 String의 문자열을 원하는 문자열을 기준으로 나눌 수 있는 클래스입니다.

예를들어 String="123,456,789"; 가 존재한다면 ","(쉼표)을 기준으로 String을 123/456/789 으로 3등분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StringTokenizer()의 생성자 입니다.


아래는 StringTokenizer()의 특징입니다.


1. StringTokenizer()는 객체를 생성해서 사용해야합니다.

2. StringTokenizer()는 객체를 생성 후 import 해야합니다.

3. 위의 StringTokenizer() 중 string str은 문자열을 나눌 대상입니다.

4. string delim은 str 문자를 나눌때 기준이 되는 문자열입니다.

5. boolean은 나누는 기준이되는 문자열의 출력 여부를 묻습니다.

6. 여러개의 구획 문자가 적용가능하다. (아래 예제 참고)


아래는 StringTokenizer() 클래스와 함께 사용되는 메소드입니다.

(나누는 문자의 각 대상들을 token이라고 합니다.)


countTokens(); 

토큰의 개수 확인
hasMoreTokens(); 토큰이 더 남아있는지 확인
nextToken(); 다음 토큰을 불러옴


아래의 예제를 통하여 더 StringTokenizer()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package 기본01;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a0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a = "123,456,789";

               StringTokenizer a1 = new StringTokenizer(a, ",");

               // 객체 생성 import

 

               String b = "1,2,3,4,5,6,7,8,9";

               StringTokenizer b1 = new StringTokenizer(b, ",");

               // 객체 생성 import

 

               System.out.println(a1.countTokens());

               System.out.println(b1.countTokens());

 

        }

 

}


<결과물>


 package 기본01;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a02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a = "123,456,789";

               StringTokenizer a1 = new StringTokenizer(a, ",");

               // 객체 생성 import

 

               String b = "1,2,3,4,5,6,7,8,9";

               StringTokenizer b1 = new StringTokenizer(b, ",");

               // 객체 생성 import

 

               while (a1.hasMoreTokens()) {

                       // hasMoreTokens while문을 사용합니다.

                       System.out.println(a1.nextToken());

                       System.out.println("hasMoreTokens 토큰개수 만큼 진행됩니다."+a1.countTokens()+"처음 3토큰이 -1 감소하네요");

                      

 

               }

               while (b1.hasMoreTokens()) {

                       System.out.println(b1.nextToken());

 

               }

        }

}


<결과물>


<tokenizer생성자 boolean true 적용 예제>

 package 기본01;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a02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a = "123,456,789";

               StringTokenizer a1 = new StringTokenizer(a, ",", true);

               // 객체 생성 import

 

              // true , 분리하는 쉼표도 같이 출력됩니다

 

               while (a1.hasMoreTokens()) {

                       // hasMoreTokens while문을 사용합니다.

                       System.out.println(a1.nextToken());

                       System.out.println("hasMoreTokens 토큰개수 만큼 진행됩니다." + a1.countTokens() + "처음 토큰이 -1 감소하네요");

 

               }

        }

}

<결과물>


*중요 <tokenizer생성자 여러개의 delim>

이 기능을 사용하여 간단한 계산기 구현 가능합니다.

 package 기본01;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a02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a = "1-2+-*/3+4+-*/56";

               StringTokenizer a1 = new StringTokenizer(a, "+-*/");

               // 객체 생성 import

 

               // true , 분리하는 쉼표도 같이 출력됩니다.

 

               while (a1.hasMoreTokens()) {

                       // hasMoreTokens while문을 사용합니다.

                       System.out.println(a1.nextToken());

               }

        }

}


<결과물>



자료가 마음에 드셨다면 자주 찾아주세요^^ 글 올리는데 힘이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이번 시간에는 StringBuffer 클래스의 insert() 메소드를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StringBuffer 클래스는 String 클래스와는 다르게 정적 문자열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들어, String 클래스의 변수 a가 ="123"; 이면, 이 a는 변함이 없지만, StringBuffer 클래스의 a는 변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다만, 이 StringBuffer는 new를 이용하여 새로운 객체를 생성하여야 합니다.


다음으로 insert()메소드에 대해서 확인하도록 하겠습니다.

insert(int 시작점, boolean)

insert(int 시작점, int)

insert(int 시작점, long)

insert(int 시작점, float)

insert(int 시작점, double)

insert(int 시작점, char)

insert(int 시작점, string)


insert() 메소드는 StringBuffer 클래스에 속한 메소드이며, 문자열에서 어떤 임의 지점에 문자를 삽입할 수 있는 기능이 있습니다.

예를들어, a="1256"; 이 있다면 insert()메소드를 이용하면 3번 index자리로 부터 "34"를 삽입하여 a="123456" 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아래 예제를 통하여 더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package 기본기04;

 

public class a04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Buffer a = new StringBuffer("12삽입56");

               // "12삽입56" StringBuffer 객체를 생성합니다.

 

               // 먼저 삽입이라는 문구를 제거하고 45 삽입하도록 하겠습니다.

               a.delete(2, 4);

               System.out.println(a);

               // delete 이용하여 "삽입" 문구를 지웠습니다.

 

               System.out.println("---------");

 

               System.out.println(a.indexOf("34"));

               // 현재는 "34" String 존재하지 않으므로 -1 값을 반환합니다.

 

               System.out.println("---------");

               a.insert(3, "34");

               /// 3 index자리에 String "34" 삽입하겠습니다.

               System.out.println(a);

 

               System.out.println(a.charAt(0));

               System.out.println(a.charAt(1));

               System.out.println(a.charAt(2));

               System.out.println(a.charAt(3));

               System.out.println(a.charAt(4));

               System.out.println(a.charAt(5));

 

               System.out.println("---------");

               StringBuffer b=new StringBuffer("");

               b.append("나라마");

               System.out.println(b);

               b.insert(0, 1);

               //int 1 삽입

               System.out.println(b);

               b.insert(3, 1.1);

               //double 1.1 삽입

               System.out.println(b);

               b.insert(5,'');

               //char형태 삽입

               System.out.println(b);

        }

 

}


<결과물>

자료가 마음에 드셨다면 자주 찾아주세요^^ 글 올리는데 힘이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