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의 데이터 타입 중 실수형 데이터 타입은 다음과 같습니다.
float | 부호가 있는 32비트 실수 | 4바이트 | 1.4E-42~3.4028235E28 |
double | 부호가 있는 64비트 실수 | 8바이트 | 4.9E-324~1.7976931348623157E308 |
float은 뒤쪽에 f 또는 F를 붙여 사용가능합니다.
그렇다면 실수형 데이터 타입에 대한 예제를 아래와 같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public class T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변수 선언 및 초기화 float a = 1.1134f; float b = 6.151f; // float은 끝에 f를 사용해야함 double c = 5.3215123451; double d = 7.11111;
System.out.println(a); System.out.println(b); System.out.println(c); System.out.println(d); System.out.println(a + b); System.out.println(c + a + b); System.out.println(a < b); // 출력값을 System.out.println을 통하여 console창에 결과값 출력 }
} |
<결과물>
결과값은 위의 형태와 같습니다. 모두 실수의 형태이므로 계산이 가능합니다. char형태의 데이터타입과는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c+a+b 의 값이 당연히 연산 후 결과값이 출력됨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float과 같은 실수형 데이터 타입은 double형태와 다르게 F또는 f을 붙여야 사용가능함을 알 수 있습니다.
자료가 마음에 드셨다면 자주 찾아주세요^^ 글 올리는데 힘이됩니다.
'JAVA-기본 > 기본1'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기본06-자바변수(String) (0) | 2018.06.21 |
---|---|
JAVA-기본04-자바변수03(정수) (0) | 2018.06.21 |
JAVA-기본03-자바변수02(char) (0) | 2018.06.20 |
JAVA-기본02-자바변수01(boolean) (0) | 2018.06.20 |
JAVA-기본01-콘솔창출력 (0) | 2018.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