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68)
JAVA-기본 (7)
JAVA-AWT (24)
JAVA-클래스의 중요메소드 (23)
JAVA-람다식 (0)
Android Studio (7)
Python (1)
OpenCV (1)
AWS (0)
webrtc (0)
javascript (4)
처리방침 (1)
rss 아이콘 이미지

JAVA-기본04-자바변수03(정수)

JAVA-기본/ 기본1 2018. 6. 21. 00:09 Posted by IT-개발자
반응형

자바의 데이터 타입 중 정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byte 부호가 있는 8비트 정수 1바이트 -128~127
short 부호가 있는 16비트 정수 2바이트 -32768~32767
int 부호가 있는 32비트 정수 4바이트 -2147483648~2147483647
long 부호가 있는 64비트 정수 8바이트

-9223372036854775808~9223372036854775807


그렇다면 정수 데이터 타입에 대한 예제를 아래와 같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public class T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변수 선언 및 초기화

               byte a=1;

               byte b=127;

       

               short c=1;

               short d=1;

              

               int e=5;

               int f=1124132510;

              

               long g= 124125111111242345L;

               long h=1241251234;

              

               //long int 범위를 벗어나면 숫자뒤에 L 붙여야합니다~

              

               System.out.println(a);

               System.out.println(b);

               System.out.println(c);

               System.out.println(d);

               System.out.println(e);

               System.out.println(f);

               System.out.println(g);

               System.out.println(h);

               System.out.println(g+a+b+c);

               System.out.println(a+a>d);

               System.out.println(g+a+b+c>a+c);

                // 출력값을 System.out.println을 통하여 console창에 결과값 출력

        }

 

}



<결과물>

결과값은 위의 형태와 같습니다. 모두 정수의 형태이므로 계산이 가능합니다. char형태의 데이터타입과는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g+a+b+c의 값이 당연히 연산 후 결과값이 출력됨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long과 같은 데이터 타입은 int형과 다르게 int의 범위를 벗어나면 L또는 l을 붙여야 사용가능함을 알 수 있습니다. 


자료가 마음에 드셨다면 자주 찾아주세요^^ 글 올리는데 힘이됩니다.



반응형

'JAVA-기본 > 기본1'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기본06-자바변수(String)  (0) 2018.06.21
JAVA-기본05-자바변수04(실수)  (0) 2018.06.21
JAVA-기본03-자바변수02(char)  (0) 2018.06.20
JAVA-기본02-자바변수01(boolean)  (0) 2018.06.20
JAVA-기본01-콘솔창출력  (0) 2018.0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