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의 기본 데이터 타입 중 boolean 입니다.
1. boolean은 참이나 거짓을 나타내는 값으로 1바이트 크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2. 주로 프로그램의 흐름을 제어하는 변수로 사용되는 데이터 타입입니다.
3. boolean은 그 결과로 true 또는 false이라는 논리값을 반환합니다.
그렇다면 boolean에 대한 예제를 아래와 같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public class T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변수 선언 및 초기화 boolean a=true; boolean b=false; //boolean은 참이나 거짓을 나타내는 값으로 1바이트의 크기를 가집니다.
System.out.println(a); System.out.println(b); //전 강의에서는 ""안에 글자가 들어간 string의 데이터 타입이 들어간 형태이지만, //지금은 변수형태이므로 ""가 들어가지 않고 바로 a라는 형태로 들어갑니다. //추후강의에서 확인하겠습니다.
//아래는 비교연산자로 결과값이 true인지 false인지 boolean 형태의 값이 출력됩니다. System.out.println(3<4); System.out.println(3==4); System.out.println(3<2); System.out.println(3<1); // 출력값을 System.out.println을 통하여 console창에 결과값 출력 //비교연산자는 추후 강의에서 확인하겠습니다.
}
} |
<결과물>
결과물을 살펴보면
1. a라는 변수값을 출력하는 것으로 a=true 값을 가지고 있습니다. System.out.println을 통하여 a를 출력합니다.
2. b라는 변수값을 출력하는 것으로 b=false 값을 가지고 있습니다.
3. 3<4라는 연산자를 비교하여 그 결과가 true인지 false 인지 확인을 하고 그 값을 boolean의 값으로 출력합니다.
4. 3==4 (3과 4가 같은지 )라는 연산자를 비교하여 그 결과가 true인지 false 인지 확인을 하고 그 값을 boolean의 값으로 출력합니다.
4번의 경우 =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결과가 같은지 비교하는 연산자는 ==을 사용하는 것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추후 비교연산자 강의에서 다시한번 확인하도록 하겠습니다.
5. 3<2라는 연산자를 비교하여 그 결과가 true인지 false 인지 확인을 하고 그 값을 boolean의 값으로 출력합니다.
6. 3<1라는 연산자를 비교하여 그 결과가 true인지 false 인지 확인을 하고 그 값을 boolean의 값으로 출력합니다.
자료가 마음에 드셨다면 자주 찾아주세요^^ 글 올리는데 힘이됩니다.
'JAVA-기본 > 기본1'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기본06-자바변수(String) (0) | 2018.06.21 |
---|---|
JAVA-기본05-자바변수04(실수) (0) | 2018.06.21 |
JAVA-기본04-자바변수03(정수) (0) | 2018.06.21 |
JAVA-기본03-자바변수02(char) (0) | 2018.06.20 |
JAVA-기본01-콘솔창출력 (0) | 2018.06.20 |